음력으로 8월 15일, 올해 2023년에는 9월 29일이였던 한국의 가장 큰 명절 추석. 추석에 대해 알아보자. 한가위로도 불리는 추석은 사람들과 함께 음식과 정을 나누는 민족 최대의 명절이다. 삼국시대 이전부터 시작된 가을과 수확의 축하는 아직까지 이어져, 요즘 우리에겐 음력 8월 14일에서 16일까지 3일간의 공휴일로 보내진다.
일년에 한번 예쁜 한복을 입고 맛있는 음식들을 가득히 만들어 다 같이 나눠먹으며 수많은 놀이들과 재미로 가득한 이 날, 추수에 감사를 하며 차례를 지내고 즐거운 축제를 여는 이 날은, 바로 추석이다. 이런 즐거운 추석을 보내는 데에는 많은 행사들과 민속놀이들이 있는데, 강강술래, 닭싸움, 소싸움, 달맞이, 길쌈, 농악, 줄다리기, 씨름 등이 있다. 달이 가장 밝은 정월대보름날이나 추석에는 강강술래를 하는데 이는 20∼30명의 젊은 여자들이 모여 달이 뜨면 손과 손을 잡고 오른쪽으로 돌면서 강강술래를 외치는 놀이이다. 남자들이 하는 씨름에는 잔디밭이나 모래밭에서 서로를 쓰러뜨리려 하는 놀이이며, 이긴자는 '장사'라 불러 송아지, 쌀, 또는 광복 등을 상품으로 받기도 했다고 한다. 이런 전통놀이들 중 모두가 가장 좋아하는 놀이가 있으니, 그것은 바로 줄다리기이다. 남녀노소 모두 함께하는 줄다리기는 주민들끼리 편을 가르거나 다른 마을과 줄다리기를 하는데, 줄을 힘껏 당겨 힘이 더 센 쪽이 이기는 것이다.
추석에는 절대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있다면 음식일 것이다. 추석 음식들은 지역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다. 하지만 대표적으로 차례 음식과 잔치 음식으로 크게 두개로 나눌 수 있으며, 차례 음식으로는, 햇과일, 삼색나물, 전, 국, 송편 등이 있으며, 잔치 음식으로는 그해 햇과일이나 잡채, 갈비찜, 육전, 식혜 등이 있다고 한다.
지금까지 추수기를 맞이해 풍년을 축하하며 이웃들과 놀고 즐길수 있는 아름다운 우리에 최대 명절, 추석에 대해 알아보았다.
A Traditional Korean Holiday: What is Chuseok?
Translated by Hyewon Suh
Chuseok, South Korea’s most significant traditional holiday, falls on the 15th of August in the lunar calendar, which corresponds to September 29th this year. Also known as Hangawi, Chuseok is the nation’s foremost festival, where people come together to share food and love. This cherished tradition traces its roots back to the pre-Three Kingdoms era and pays homage to the autumn season and the bountiful harvest; it continues to thrive in modern times as a three-day public holiday, spanning from the 14th to the 16th day of the lunar calendar.
During this special occasion, people don their splendid Hanbok attire and prepare delicious dishes to share with one another. It is a time filled with numerous games and joyous activities. People take this time to express their gratitude for the harvest, perform ancestral rites, and revel in festive celebrations. The Chuseok celebration boasts a multitude of events and traditional games, including Ganggangsullae (a circle dance), cockfights, bullfights, moon-gazing, rice cake making, Nongak (traditional music), tug-of-war, and wrestling. Ganggangsullae, in particular, is a notable Chuseok tradition, featuring 20 to 30 young women who chant while joining hands and circling to the right. Meanwhile, the men engage in wrestling matches on grass or sand fields, vying to topple their opponents. The victor, known as “Jangsa,” may receive prizes such as a calf, rice, or clothing. Among these traditional games, one holds a special place in the hearts of all: tug-of-war. People of all ages and genders participate in this exciting contest, either competing within their community or challenging neighboring villages. The objective is to exert all their might in pulling the rope, with victory awarded to the side exhibiting superior strength.
When discussing Chuseok, an element that cannot be overlooked is the cuisine. Chuseok dishes may vary slightly from region to region, but can broadly be categorized into two main types: ritual foods and feast foods. Ritual foods include freshly harvested fruits, three-color vegetables, jeon (pan-fried delicacies), soup, and songpyeon (rice cakes). Feast foods feature seasonal fruits, japchae (stir-fried noodles), galbijjim (braised short ribs), yukjeon (pan-fried battered beef), and sikhye (sweet rice punch).
Thus, we’ve explored Chuseok, our nation’s most important holiday, where we celebrate the abundance of the harvest season, enjoy the company of our neighbors, and revel in the richness of our cultural heritage.
Commentai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