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제 4회 뉴잉글랜드 지역 동해∙독도 지명표기 공모전을 위한 특강에 참여하며 | Preparing for The 4th New England Regional East Sea∙Dokdo Research and Name Correction Contest

문서연 Seoyon Moon

Updated: Nov 8, 2024

뉴잉글랜드 지역 동해∙독도 지명 표기 실태 조사 및 시정 활동 공모전이 10월 31일 작품 제출 마감을 앞두고 있다. 이 공모전은 K-Food와 K-Pop을 통해 대한민국이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시기에, 학생들이 동해∙독도의 중요성을 직접 배우고 알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재미한국학교 뉴잉글랜드 지역협의회에 의해 4년째 개최되고 있다. 공모전을 위해 뉴잉글랜드 한국학교 교사들은 동해∙독도 특강을 2주간 진행했다. 기초 2과정 김희현 교사, 기초 3과정 이보람 교사, 중급 3과정 조나단 교사, 고급 류민희 교사가 강의를 진행했다. 교사들이 특강을 준비하면서 느낀 점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직접 김희현 교사, 조나단 교사,류민희 교사와 만나 보았고, 학생 인터뷰를 통해 12학년 최유나, 노진, 11학년 구소정, 10학년 이다영, 9학년 김주현, 8학년 문하람, 심서현 학생들의 새로운 배움에 대한 이야기도 담았다.


선생님 인터뷰


Q. 전체적인 강의 준비 과정을 짧게 공유해주실 수 있으신가요? 강의를 준비하시면서 특별히 참고하신 역사적 자료가 있다면 말씀해주세요. 


김희현 선생님: 저는 기초과정 ‘ㄷ’과 관련된 수업 중 독도와 동해를 함께 배울수 있도록 했습니다.독도와 동해의 첫 자음이 ‘ㄷ’임을 알려주고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 짧은 영상과 함께 강치, 괭이갈매기에 대한 이야기도 준비했어요. 

류민희 선생님: 저는 뉴잉글랜드 한국학교 고급과정을 담당하는 교사로서 학생들의 동해독도 표기 공모전을 지원하기 위한 수업을 올해로 4년 동안 해왔습니다. 작년부터는 교사지도 부문도 공모전에 포함되면서 공모전 출품을 위하여 다른 선생님들과 협력하여 체계적으로 교수학습지도안을 만들어 볼 기회가 있었기에 올해는 그에 기반하여 강의를 준비했어요. 이를 위해서 한국 외교부와 국토교통부의 동해∙독도 관련 공식 자료, 동북아 역사넷, 반크의 각종 활동 자료, 전문가 인터뷰, 일본의 역사 왜곡을 담은 신문 기사 등을 참고 하였습니다. 


Q. 이번 강의를 준비하실 때 가장 중점에 두신 부분은 무엇인가요? 학생들이 동해∙독도에 대해 어떤 점을 더 깊이 이해하길 바라셨나요?


김희현 선생님: 학생들이 ‘독도는 동해에 있는 가장 동쪽의 섬인데, 우리 땅’이라는 사실을 잊지 않고 기억하기를 바랐습니다. 

조나단 선생님: 저는 동해∙독도에 관련한 지속적인 관심이 병기 표기나 영유권 논쟁을 떠나 일본의 제국주의로부터 오는 우리나라에 대한 부당한 대우에 이의를 제기하고 바꾸려는 노력이라는 사실을  알려주고 싶었습니다. 동해∙독도에 대한 문제도 물론 크지만 위안부 강제 징용에 대한 사과조차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지명 표기 관련 일이 일어나니 사람들이 더욱 분개하는 것이라는 역사적 배경을 이해하길 바랐습니다.


Q. 공모전에 참가하는 학생들에게 어떤 조언을 해주고 싶으신가요? 


김희현 선생님: 우리 과정은 K학년, 그림일기 부분인데 수업 중 배운 내용을 중심으로 아이들만의 발상으로 이야기를 만들어가면 좋을 것 같습니다. 더 나아가, 이런 동해∙독도 공모전 행사를 통해 잘 배워서, 주변에서 쉽게 보이는 잘못 표기된 지도를 보면 주변 친구들에게 부끄러워 하지 않고 이야기를 할 수 있는 지식이 키워졌으면 좋겠습니다. 

조나단 선생님: 학생들이 조금 더 새로운 시각으로 동해∙독도 문제를 바라봤으면 해요. 다른 사람들이 다 얘기하는 내용이 아닌 참신하고 장기적인 관점으로 특별한 해결책을 제시해 공모전에 참가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류민희 선생님: 공모전 참가를 위하여 우리 학생들이 벌이는 시정활동은 한국의 고유 영토인 독도와 소중한 문화유산인 동해의 이름을 지키기 위한 노력임과 동시에 각국의 이해 충돌로 인한 갈등과 폭력이 지배하는 국제 사회에서 공존과 평화의 가치를 지향하는 노력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번 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이 한민족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긍지와 정체성을 키워 나갈 수 있기를 바라면서 가까운 주변에서부터 잘못된 표기와 오류를 하나씩 고쳐나가는 것에 힘 써주기를 바랍니다.


Q. 마지막으로 동해∙독도에 대해 개인적으로 어떤 의미를 두고 계신지, 또 한국의 역사적 권리를위해 학생들이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는지 말씀해주실 수 있으신가요? 


조나단 선생님: 동해∙독도와 같은 외교적 문제에서는 개인적으로 나라의 힘, 국력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여전히 세계에서 일본의 영향력은 큰 편이기 때문에 한국 또한 더 힘을 키워 목소리를 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또한, 당연한 것에 머무르면 변화는 생기지 않는다는 사실을 잊지 않았으면 해요. 한글의 발명이나 여성의 선거권 취득 같은 전혀 다른 문제들도 많은 반대를 무릅쓰고 변화한 것이라는 사실을 늘 기억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학생들은 먼 미래를 바라보고 그에 알맞은 해결책을 보이며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콘텐츠를 만들기를 바랍니다. 

류민희 선생님: 현재 일본에서는 더욱 심각한 교과서 왜곡이 진행 중입니다. 내년 일본 중학교에서 쓰일 18종의 사회 교과서에는 "독도는 일본의 고유한 영토인데 한국이 독도를불법으로 점거하고 있다'는 내용이 실려 있다고 합니다. 독도를 자기네 땅이라고 배운 일본 어린이들이 어른이 된다면 동아시아에 과연 평화가 올 수 있을까요? 또한 '일본해'라는 공식명칭을 '동해'와 병기하여 사용하자는 한국 정부의 합리적인 제안을 일본정부는 철저히 무시하고 있습니다. 그것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일까요? “지금은 남의 땅-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라는 구절로 시작하는, 식민지 시대를 살았던 이상화 시인의 시가 떠오릅니다. 일본으로부터 해방된지 80년이 흘렀지만 우리에게 아직 온전한 봄날은 찾아 오지 않은 것 같습니다. 긴 식민지 시대를 겪으면서 역사의 트라우마를 경험했던 피해자였던 우리에게서 우리 땅 독도를 빼앗고 우리가 부르는 이름 동해를 지워버리려는 가해자 일본 정부의 헛된 노력을 두고 보아서는 절대로 안될 일입니다. 한국의 역사적 권리를 위해 우리 뉴잉글랜드 한국학교 학생들이 할 수 있는 일은 한국어와 한국문화, 그리고 한국역사에 대해 열심히 배우는 것입니다. 그리고 목소리를 내는 것입니다. 그 중 한 방법이 바로 이번 공모전 출품이 라고 모전 출품이라고 생각해요. 독도 동해 공모전에서 들려오는 우리 학생 한명 한명의 힘찬 목소리가 함성이 되어 우리 아픈 역사의 진실을 밝히는 큰 힘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학생 인터뷰


Q. 동해∙독도 특강을 듣고 새롭게 깨달은 사실은 무엇인가요?


12학년 노진: 독도 특강을 듣고 독도의 가치를 더 많이 알게 되었어요. 독도가 수상에 보이는 땅이 다가 아닌 것에서부터 메탄 하이드레이트까지 독도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매력과 가치에 대해 배우게 되었어요. 

12학년 최유나: 우산도(512년), 삼봉도(1471년), 가지도(1794년), 석도(1900년), 독도(1906년) 이렇게 이름이 많았고 바뀌었다는 것이 보기 재미있었어요. 그리고 원래 옛날 역사적으로부터 독도는 한국 땅이었지만 아직도 독도가 한국 영토인지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는 점이 안타까워 독도가 한국 땅임을 더 알리고 공유하고 싶은 마음이 큰 것 같아요. 

11학년 구소정: 동해가 지도에서 동해로만 표기되는 것이 아니라 일본해와 같이 표기되어야 한다는 사실에 많이 놀랐어요. 저는 독도, 동해 표기 문제들이 같다고 생각했는데 독도는 우리만의 소유권에 대한 문제이고 동해는 또 다른 것이라는 걸까 궁금했는데 독도라는 섬 하나로 나라가 가질 수 있는 것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깨달았어요. 이 땅을 잃으면 옛 고구려 땅을 잃은 것처럼 다시 되찾기가 정말 힘들어질 것이기 때문에 잘 지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8학년 심서현: 한국과 일본 사이에서 독도를 가지고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더 자세히 배웠어요. 일본이 왜 독도를 원하는지, 또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어떻게 그리고 왜 독도를 지켜야 하는지 알게 되었어요. 


Q. 12학년 학생들은 작년에도 동해∙독도 특강을 수강했다고 들었어요. 작년과 비교하여 올해는 어떤 새로운 내용을 배우게 되었나요?


12학년 노진: 이번에는 박현아 선생님 특강을 수강하며 선생님께서 직접 독도를 가보신 경험도 설명해주신게 좋았던것 같아요. 개인 경험 이야기를 통해 역사와 독도가 우리나라인 것을 떠나서 그곳의 문화와 독도라는 곳 자체에 대해 배워서 뜻깊었어요.

12학년 최유나: '삽살개'라는 한국 견종이 아직도 있으며, 한국 전통 견종으로서 우리 독도를 지키고 있다는 점이 재미있고 뿌듯했어요. 독도를 지키는 '지킴이' 라는 삽살개가 실제로 독도에 있대요!


Q. 동해∙독도 공모전에 참가함으로써 이뤄내고 싶은 학생들의 소망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12학년 노진: 저는 학생에서부터 이제 교사로 이 공모전에 참가하고 있는데요, 처음부터 같은 

마음으로 세상 사람들이, 

그리고 특히 우리나라 사람들이 독도가 정말 누구의 땅인지, 왜 우리나라 땅인지, 그리고 동해의 맞는 표기를 알 수 있도록 이 공모전에 참가합니다.

12학년 최유나: 동해는 한국과 일본 사이에 있고 서로 한 이름에 동의를 못해, 같이 표기해야 한다규칙에 따라, East Sea와 Sea of Japan이 같이 표기되어 있어야 한다는 점을 바꾸고자 하는게 가장 큰 소망인 것 같아요. 아직도 Sea of Japan으로만 표기된 지도들이 많다는게 문제라고 느끼고요. 또한 독도는 엄연한 한국 영토이기에 한국 경찰이 꾸준히 지키고 있으며, 일본의 주장이 억지라는 것을 알리고 싶어요. 안타깝게도 일본인들을 포함한 많은 외국인들이 독도가 한국 영토임을 모르고 이를 증명하는 역사가 있다는것을 몰라, 이 사실을 세상에 더 알리고 가르치는게 가장 큰 목표일 것 같아요.

11학년 구소정: 이번 동해∙독도 공모전에 참가함으로써 외국인들에게 이 두 곳의 중요성을 알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다른 한국인들에게 더 자세히 알리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저도 한국에서 학교를 오랜 시간 다녔지만 독도가 우리 땅이라는 것 말고 지도에서 표기되는 방식이나 역사는 잘몰랐기 때문에 이러한 사실을 더 알려야 한다고 생각해요. 

10학년 이다영: 제가 동해 독도 공모전에 참가함으로써 이루고 싶은 소망은 더 많은 사람들이 이 문제를 알게 되는 것입니다. 동해 독도 문제는 단순한 지리적, 영토 문제가 아니라 일본과 한국사이의 역사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이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9학년 김주현: 저는 동해∙독도 공모전을 통해 영토분쟁에 대한 역사도 알려지고 옳은 방안이 인정 받았으면 좋겠어요.

8학년 문하람: 독도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고 동해∙독도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들에게 독도가 한국에게 얼마나 중요한지 알려주고 싶어요. 또 일본의 제국주의의 마인드셋을 파괴할 수 있는 관점으로 공모전에 임하려고 해요. 


Q. 현재 공모전을 위해 어떻게 준비하고 있나요? 


12학년 최유나: 저는 올해 지도 교사 부문으로 신청을 하게 되었는데요, 뉴잉글랜드 한국학교의 kinder 학생들부터 5학년 아이들까지 있는 기초과정을 담당해 동해 독도 특강을 준비했습니다. 연령대가 큰만큼, 이해하기는 쉽게 많은 정보들을 가르치는게 가장 어려웠던 것 같지만, 그래도 강의에 대한 퀴즈도 하고, 독도에 대한 재미있는 팝업북도 만드는 등, 아이들의 재미도 놓치지 않게 특강을 진행 했던것 같습니다. 특강을 마친 지금은 강의에 관한 보고서와 제가 이 특강을 하면서 이루렸던 목표들 등 여러가지에 대해 쓰고 있습니다. 

11학년 구소정: 아직 깊게 공모전 준비를 시작하지는 않았지만 현재는 자료조사 위주로 준비하고 있어요. 인터넷에서 먼저 가장 많은 정보를 정확하게 얻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10학년 이다영: 저는 현재 공모전을 위해 동해를 "일본해"로만 부르는 지도와 독도를 일본 영토라고 주장하는 사이트들을 찾아보고 있습니다. 또한, 슬라이드쇼 준비도 하고 있습니다.

9학년 김주현: 수업 때 받은 자료를 복습하고 있고 발표 자료를 열심히 계획하고 있어요. 



Translated by Kristin Kim


The entry deadline for the New England area’s East Sea ∙ Dokdo Research and Name Correction Contest is October 31st. This contest is being held for the fourth year in a row by the New England Association of Korean Schools as a way for students to learn about and promote the importance of this topic, especially as South Korea is attracting attention worldwide through K-food and K-pop. Teachers at the Korean School of New England conducted special lectures about the East Sea and Dokdo that were held over the course of 2 weeks, to help students prepare for the contest. Teachers Kim Hee-hyun (Beginner 2 Level), Lee Boram (Beginner 3 level), Cho Nadan (intermediate 3 level), and Ryu Minhee (advanced level) led the lectures. In order to learn about these teachers’ experiences while preparing for their lectures, I interviewed teachers Kim Heehyun Kim, Cho Nadan, and Ryu Minhee. Also, through student interviews of 12th graders Yuna Choi and Jin Roe, 11th grader Katie Gu, 10th grader Amy Lee, 9th grader Matthew Kim, and 8th graders Haram Moon and Seohyun Shim, I found out about what new things students have learned.


Teacher Interview


Q. Could you briefly share the overall process of how you prepared for the lectures? If you referred to any specific historical materials, please mention them. 


Kim Heehyun: I had my students learn about Dokdo and Dong-hae (East Sea) during lessons about the letter “ㄷ” in the Korean alphabet. I taught them that the first consonant in Dokdo and Dong-hae is “ㄷ”. I also prepared a short video and a story about Kangchi and black-tailed gulls to spark the children’s interest.

Ryu Minhee: As a teacher of the advanced level classes at KSNE, I have been teaching classes to support my student’s participation in the East Sea/Dokdo contest for four years now. Starting last year, the teacher guidance category was included in the contest, which gave me the opportunity to collaborate with other teachers to create a teaching and learning plan for our submissions, so I prepared for my lectures this year based on that experience. For this, I referred to official materials about the East Sea and Dokdo from South Korea’s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s well as Northeast Asian History Net, various activity materials from VANK, expert interviews, and newspaper articles about Japan’s distortion of history.  


Q. What was your main focus while preparing for this lecture? What aspects of the topic of the East Sea / Dokdo did you hope students would have a deeper understanding of? 


Kim Heehyun: I hoped that students would remember the fact that Dokdo is the easternmost island of the East Sea, and it is our land. 

Cho Nadan: I wanted to let them know that the ongoing interest towards the East Sea and Dokdo is not just about naming disputes or territorial claims, but it is about challenging and trying to change the unfair treatment towards our country from Japanese imperialism. I wanted them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context of this issue that there has been a lack of sufficient apologies for comfort women, which makes people even more enraged about naming disputes, although the issue surrounding the East Sea and Dokdo itself is significant.

Minhee Ryu: Although the contest has been held for several years, I noticed that there still are aspects of the East Sea and Dokdo issue that students have misconceptions about. So for this lecture, I put my focus on having my students accurately understand the issues surrounding the naming of the East Sea and the territorial claims to Dokdo. Based on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se matters, I hoped students would reflect on how Korea’s colonial history has impacted the East Seat and Dokdo issues, and how our efforts to correct these wrongs can change the future. 


Q. What advice do you want to give to students participating in this contest?


Heehyun Kim: Our level includes Kindergarten students, in the illustrated diary section, and it would be great if the children would tell the story with their own ideas based on what they have learned in class. Furthermore, I hope that they will learn well through the East Sea / Dokdo contest and develop the knowledge to discuss mislabelled maps they encounter often with their peers without feeling embarrassed.

Nadan Cho: I hope students look at the East Sea and Dokdo issues from a new perspective. I think we can get good results if we participate in the contest by presenting a special solution from a novel and long-term perspective, not from what everyone else is saying. 

Minhee Ryu: I believe that our students participate in the contest to correct the wrong marks of Dokdo and the East Sea is an effort to protect the name of Dokdo, Korea's own territory, and the East Sea, a valuable cultural heritage, while also aiming for the value of coexistence and peace in an international community dominated by disputes and violence caused by conflicts of interest in each country. I hope that through this activity, students will be able to develop pride and identity as members of the Korean community and that they will work hard to correct the wrong marks and errors one by one. 


Q. Lastly, can you tell us what the East Sea and Dokdo mean to you personally, and what students can do for Korea’s historical rights?

 

Nadan Cho: In diplomatic issues like those concerning the East Sea and Dokdo, I believe that the strength and power of a nation are the most important. Since Japan still has significant influence in the world, I hope that Korea can also strengthen its power and raise its voice. Additionally, I hope we don’t forget that change doesn’t occur if we settle on what is considered “normal.” We should always keep in mind that different issues, such as the invention of Hangul or women’s suffrage, changed to facing much opposition. I hope students will look forward to the distant future and create content that fosters consensus while presenting appropriate solutions. 

Minhee Ryu: Currently, there is a serious distortion of textbooks in Japan. Eighteen social studies textbooks for next year's middle schools in Japan say that "Dokdo is Japan's own territory, but Korea occupies Dokdo illegally." Will there ever be peace in East Asia when Japanese children who learned that Dokdo belongs to them become adults? The Japanese government has also completely ignored the Korean government's reasonable proposal to use the official name of the Sea of Japan in parallel with the East Sea. What does this imply? 

It reminds me of poet Lee Sang-hwa's poem that liv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which begins with the phrase, "Does spring come to other people's land and stolen fields now?" Eighty years have passed since Korea was liberated from Japan, but it seems that a full spring day has yet to come to us. We must not just watch the futile efforts of the Japanese government, the perpetrator, to take Dokdo of our land from us, who experienced the trauma of history through the long colonial period, and to erase the East Sea, the name we call. For the sake of Korea's historical rights, what our students in the Korean School of New England can do is to learn hard about the Korean language, Korean culture, and Korean history. Also, to speak up. I think one of them is to participate in this contest. I hope that each and every one of our students' strong voices coming from the Dokdo East Sea contest will cheer us up and help us uncover the truth of our painful history.


Student Interview


Q. What is something new you learned after listening to the East Sea ∙ Dokdo special lecture? 


12th grader Jin Roe: I was able to realize a lot about the values of Dokdo after the Dokdo lectures. I also learned about the various charms of Dokdo including the fact that the Dokdo you see above water isn’t all, there’s much more beneath the water and Dokdo carries resources such as methane hydrate.

12th grader Yuna Choi: It was interesting to learn that Dokdo has changed its name many times. It used to have names of Usando(512), Sambongdo(1471), Gajido(1794), Sukdo(1900), and finally became Dokdo(1906). It is unfortunate that many people still do not know that Dokdo belongs to Korea even though Dokdo has historically been Korean territory, so I want to inform and share with more people that Dokdo is Korea's land. 

11th grader Katie Gu: I was very surprised by the fact that Donghae should be labeled as East Sea / Sea of Japan rather than just “East Sea”. I also thought the Dokdo and East Sea issues were the same, but I learned that Dokdo is about our sole possession and the East Sea is a different story. 

8th grader Haram Moon: I was curious about why Korea and Japan are fighting so much with a small island in the East Sea, but I realized that what a country can have with just that island called Dokdo is different. I think it is important to keep it well because if we lose this land, it will be really hard to get back as if we lost the old Goguryeo land.

8th grader Seohyun Shim: I learned more about what is happening with Dokdo between Korea and Japan. I also could understand why Japan wants Dokdo, and how and why Korea should protect it nonetheless. Q. I heard that 12th graders took the 

lectures on the East Sea and Dokdo last year as well. Compared to last year, what new things did you learn this year? 

12th grader Jin Roe: This time, I think it was good to listen to a lecture by Hyun-ah Park explaining her own experience of visiting Dokdo. It was meaningful to learn about the culture of Dokdo and the place itself, apart from history and Dokdo being our country through personal experience stories. 

12th grader Yuna Choi: It was fun and proud to see that there is still a Korean dog breed called Sapsal Dog and that he is protecting Dokdo as a traditional breed.  Sapsal dog protecting Dokdo; a dog named 'Guardian' is actually on Dokdo!


Q. If there is something you wish to achieve by participating in the East Sea / Dokdo contest, what is it? 


12th grader Jin Roe: I am now participating in this contest as a teacher, having started as a student, but I’ve had the same mindset from the beginning. I wanted people, especially other Koreans, to understand whose land Dokdo truly is, why it is our land, and the correct label for the East Sea.

12th grader Yuna Choi: My biggest hope is to change the current notation of the East Sea, as right now it has to be marked as the East Sea and the Sea of Japan because Korea and Japan do not agree on one name. I also think it is a problem that there are still many maps marked only as the Sea of Japan. In addition, I want to inform everyone that there are Korean police in Dokdo since it is strictly Korean territory and that Japan’s claims are unreasonable. Unfortunately, many foreigners, including the Japanese, do not know that Dokdo is a Korean land and has a history of proving it, so I think the most important goal is to let the world know and teach it. 

11th grader Katie Gu: I think it is important to let foreigners know the importance of the East Sea and Dokdo by participating in the contest but also to let other Koreans know more about them. I believe we should let them know more about the East Sea and Dokdo because although I went to school in Korea for a long time, I did not know the way Dokdo was marked on the map or its history.

10th grade Amy Lee: What I wish to achieve by participating in the East Sea and Dokdo contest is raising more awareness about this issue among more people. I think it is important for people who know about this because the issues surrounding the East Sea and Dokdo are not simply geographical or territorial, but are historical issues between Japan and Korea. 

9th grader Matthew Kim: I hope that the history of territorial disputes over Dokdo will be acknowledged and that people will accept what the best solution is through the East Sea/Dokdo contest. 

8th grader Haram Moon: I want to look more into Dokdo and share with those who are less familiar with the East Sea and Dokdo how important Dokdo is to Korea. Also, I plan to approach the contest from a perspective that can challenge the mindset of Japanese imperialism. 


Q. How are you currently preparing for the contest? 


12th grader Yuna Choi: This year, I registered for the instructor category, and I prepared a special lecture for the beginner-level classes, which have KSNE’s Kindergarten to 5th-grade students. Although it was most difficult to teach a lot of information in a way that is easy to understand, especially for such a wide age range, I made sure the lecture was fun by including a quiz about the lecture and having the students make a pop-up book about Dokdo. Now that I have completed the special lecture, I am writing a report about the lecture that includes the goals I had while preparing to give the lecture, as well as other topics.

11th grader Katie Gu: I have not started preparing for the contest in-depth yet, but I am currently working on gathering research materials. I think it is important to obtain as much accurate information from the Internet as possible.

10th grader Amy Lee: To prepare for the contest, I am currently looking for maps that label the East Sea as only the “Sea of Japan” and websites that claim that Dokdo is Japanese territory. Additionally, I am preparing a slideshow. 

9th grader Matthew Kim: I am reviewing the materials I received during class and planning and preparing for my presentation. 



6 views0 comments

Recent Posts

See All

뉴잉글랜드 한국학교 보조교사들이 직접 선정한 2024년 올해의 키워드 | Keywords of the Year 2024, selected by the Korean School of New England's Assistant Teachers

작년에 이어 올해도 KSNEAN은 새해를 맞이하여 뉴잉글랜드 한국학교의 교사와 보조교사들이 생각 하는 올해의 키워드를 알아보기로 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2024년을 가장 잘 표현 할 수 있는 ‘내가 생각하는 올해의 키워드’와 다가오는...

차세대 교사 양성 프로그램 미래의 교사를 준비하는 여정 | Next Generation Teacher Training Program A Journey to Prepare Future Teachers

차세대 교사 양성 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교사로서의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특별한 교육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교육에 대한 열정을 키우고, 교사로서의 책임감을 배울 수 있는 중요한 경험을 쌓는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뉴잉글랜드 한국학교의 오랜 전통 설날잔치 | Long-standing tradition of the Korean School of New England's Seollal feast

다가오는 1월 25일에는 뉴잉글랜드 한국학교 설날 잔치가 열린다. 설날 잔치는 매년 열리는 행사로, 한국학교 학생들이 한국의 명절을 경험하고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시간이다. 올해도 각 반에서 한국학교 학생들을 위해 여러 가지 활동을 준비...

Comments


Official Student Newspaper of KSNE

 

 

뉴잉글랜드 한국학교 - Korean School of New England

http://ksneusa.org/

© 2021-22 KSNEAN 



K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