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짓기 대회는 뉴잉글랜드 한국학교의 오랜 전통으로 매해 열리고있다. 바로 교내 작문대회 이다. 참가자들이 주어진 시간에 주제에 맞는 글을 써서 낸다. KSNEAN은 한국학교 작문대회들의 배경과 의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한국 학교 세 명의 작문 선생님들, 유민선 선생님, 이승현 선생님, 그리고 김자영 선생님을 인터뷰했다.
1. 한글학교에서 작문 선생님으로 몇 년을 가르쳤나요?
유민선 선생님: 2004년 부터 작문 선생님으로 가르쳐 오고 있으니, 18년차네요.
이승현 선생님: 안녕하세요, 뉴잉글랜드 한국학교에서 기초3과정 금도끼반 담임 선생님으로 7년간 학생들을 가르쳤고 현재는 3년 째 작문 선생님으로 글쓰기를 지도하고 있어요.
김자영 선생님: 작문 선생님으로 2019년 가을에 시작해서 이제 3년째 입니다.
2. 작문 대회를 위해 작문 수업들을 어떻게 조정했나요? (어떤 부분에 더 집중하나요?)
유민선 선생님: 코비드로 인해 온라인으로 수업이 있기 전인 2020년까지는 2-3학년 학생들이 주로 있는 신라반 학생들을 가르쳤었고, 2020년 가을부터 6-7학년이 주로 있는 조선/한국반 작문을 가르치고 있어요. 신라반의 경우 짧은 동화나 글을 함께 읽고 글쓰기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진행을 했어요. 그 나이 학생들의 경우 새로운 이야기를 듣고 읽는 것에 흥미가 많더라구요.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짜임새 있게 이야기하거나 쓰는 것은 다소 힘들어 해도 다양한 분야의 이야기에 대한 흡수가 빠르고 호기심도 많은 나이의 학생들이어서 작문반 시간에 좋은 글을 읽어 줄 때에는 집중을 잘하더라구요.
현재 중급반의 경우, 글쓰기 전반에 대한 코칭을 주로 하고 있어요. 봄학기에는 '글쓰기 코칭'을 해 주는 "낙서에서 퇴고까지' 라는 책 내용을 자료로 제가 15주간에 맞추어 준비한 내용으로 수업을 하고 해당 주제를 연습하는 방식으로 진행을 하고 있어요. 한국어로 글을 쓰는 것 뿐만이 아니라 글쓰기 전반에 필요한 연습들을 하고 있어요. 생각을 메모하는 것을 시작으로 인물 /공간/시간 묘사들을 어떻게 해 나갈지를 매 주 연습하도록 하고 있어요.
가을학기에는 '글 쓰는 삶을 위한 일년' 수전 티베르기앵 작가의 책을 수업 자료로 쓰면서 이 책의 제목처럼 우리 각자의 삶이 이야기가 되도록 어떻게 써 내려갈 수 있을지를 가르치려고 하고 있어요. 퍼스널 에세이 쓰기와 의견 에세이 쓰기 등 중 고등학교 때 많이 다루게 되는 자신의 이야기를 글로 전달하는 것을 가르치고 나아가 '창작 활동'을 격려하고자 교내 작문 대회 때 '동화 쓰기'를 진행하고 있구요
이승현 선생님: 초급 1과정 신라 1& 2반을 가르치고 있어요.
김자영 선생님: 현재 백제반만 가르쳤습니다.
3. 교내 작문대회가 학생들에게 왜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나요?
유민선 선생님: 작문대회를 위해서는 따로 수업시간을 조정하지는 않구요, 매주 학생들이 동화 쓰기 창작을 한 내용을 구글 클래스에 올리면 이 내용을 수정 보완해서 최종 대회 마감일까지 낼 수 있도록 격려하고 있어요. 평소에 꾸준히 글쓰기를 해 오는 학생들에게 창작의 기회를 줘서 소설이나 동화, 에세이 등이 어렵고 힘든 일이 아니라 평소에 써 내려간다면 좋은 글을 창작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어요
이승현 선생님: 신라반 작문 수업의 경우 주로 가을 학기에는 기본 문장 만들기, 여러가지 종류의 문장 익히기, 문장을 생생하게 표현하는 법에 대해 배우고 봄 학기 부터는 대회 형식에 맞추어 특정 주제를 주고 글쓰기를 해요. 이번 작문 대회를 위해 더욱 집중했던 부분은 대회 당일 어떠한 주제가 주어져도 학생들이 당황하지 않고 차분하게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도록 브레인 스토밍 후 마인드 맵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초점을 두었어요.
김자영 선생님: 교내 작문대회의 경우는 '동시쓰기'를 했습니다. 이유는 글을 잘 쓰는 아이들은 상 탈 기회가 많은 편이지만 글쓰기가 어려운 아이들도 좋은 작품을 내고 상을 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고 싶었습니다. '동시 쓰기' 의 경우는 긴 글을 잘 쓰기 어려운 아이들도 창의적으로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간단한 단어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평소 생각이 깊고 사물과 주변을 관심 있게 살펴보는 아이들이라면 그것을 누구나 잘 표현 할 수 있는 것이 동시 인 것 같습니다.
4. 숙제로 내줘서 학생들이 쓴 글 중에 재미있거나 기억나는 작품들이 있습니까?
유민선 선생님: 교내 작문대회를 통해 모든 학생들이 한국어로 완성된 글을 쓰는 좋은 기회가 되는 것 같아요. 평소에는 짧은 숙제나 한국어 연습을 해 오던 것을 대회를 통해 좀 더 완성된 글을 쓰게 되면 한국어 글쓰기에 대한 자신감을 가질 수 있지 않을까 싶어요. 대회라고 해서 입상 여부나 순위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생각을 글로 옮겨 전달했을 때 얼마나 읽는 이들에게 제대로 전달되어 질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는 기회로 삼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얻지 못했다고 자신이 한국어로 글을 못쓰는 것은 절대 아니에요. 평소에 글쓰기를 꾸준히 잘 하고 자신의 생각을 잘 메모하는 습관을 가지고 있는 학생이라면 대회에 수상 여부를 떠나 이미 훌륭한 작가인 것 같아요.
이승현 선생님: 교내 작문 대회를 통해 학생들 각자의 글쓰기 실력을 평가해 볼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 될 수 있고 앞으로 있을 지역 글쓰기 대회를 자신감있게 준비할 수 있는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해요.
김자영 선생님: 교외 작문대회(지역대회)의 경우는 평소에 글을 잘 쓸 수 있는 방법을 한 번 수업에 하나씩 가르쳐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매번 반복해서 이야기하며 기억할 수 있게 되새겨 주고 있습니다. 대회 준비를 위해서는 전체적인 구조와 그 안에서도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풍성하게 표현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재밌게 글쓰는 요령들에 대해서 알려주고 있습니다.
5. 지금은 무슨 반들을 담당하고 있나요? 여러 반을 가르치신다면, 각자 다른 방식들로 가르치시나요?
유민선 선생님: 작문 대회에 나가기 원하는 학생들을 따로 모아서 '작문 특강반'을 진행한 적이 있어요. 그 해에 제가 맡았던 학생들은 네 다섯살 정말 꼬맹이들을 모아 놓고 수업을 하게 되었죠...ㄷ /ㄹ (디귿, 리을) 좌우 구분 못하며, 한글 철자를 갓 뗀, 딱 그 나이의 아이들이 교실에 모였어요.. 그 나이에 작문 대회에 나가겠다고 자원? 한 게 참 귀엽고 기특했죠.. 글쓰기 주제가 나오면 그 내용에 대해 어떻게 글을 쓸지 설명도 해 주고 서로 이야기도 해보며..간단한 수업을 한 후, 칠판에 두 가지의 주제 "놀이터 /나의 생일" 이라고 크게 써 주고 ' 자~ 그럼 이 내용에 대해 글을 써 보자~" 라며 글쓰기 연습이 시작되었고 10분,, 15분 정도가 지나니 아이들은 지루함이 역력해져서 의자에서 미끄러져 내려오고 책상을 두드리고,,옆 친구와 이야기를 시작하더라구요... 그렇게 수업은 끝났어요, 신기하게도 한 페이지를 가득 채운 종이를 남겨 놓고 아이들은 교실을 떠났어요. 내용을 읽다가 놀란 건... 반이상의 아이들 대략 7-8명의 아이들이 내가 칠판에 써 놓은 " 놀이터 / 나의 생일" 이라는 글자를 계속 반복해서 한 페이지 가득 채워 놓은 거예요. 연필도 어색하게 잡고 있던 그 작은 손으로 작문대회 연습을 준비하기 위해 그 긴 시간 15분을 꼭 한 페이지를 채우겠다고 생각하며 써 내려 갔던 그 진지함과 성실함에 웃음을 지었던 기억이 나네요.
이승현 선생님: 내가 만일 하루동안 변신할 수 있다면 무엇이 되고 싶은지 그리고 변신해서 하고 싶은 것들을 글쓰기 숙제로 내주었는데 어떤 학생이 엄마로 변신하고 싶다고 했고 그 이유는 다름아닌 사탕을 많이 먹을 수 있어서 또 잔소리를 할 수 있어서라고 썼어요.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순수한 아이의 생각을 엿볼 수 있는 글이어서 재미있었어요. 가장 기억에 남는 작품은 날씨를 주제로 한 숙제였는데 자신이 지은 ‘우리 어항 속 일기예보’라는 창의적인 제목을 바탕으로 물고기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날씨들을 독특하게 글로 풀어 낸 점이 참 인상적이어서 기억에 많이 남아요.
김자영 선생님: '엄마와 함께한 즐거운 요리' 라는 주제로 글쓰기 숙제를 내주었는데 다양한 요리를 자세히 쓴 내용들이 재미있었습니다. 캘리포니아롤, 초콜릿 빵, 쿠키 등 뿐만이 아니라 저도 만들어보지 못한 코코넛 밀크를 넣은 그린커리, 마시멜로 씨리얼 콘, 수플레 팬케이크 등을 엄마와 함께 요리하고 가족들이 즐거워하며 먹은 내용을 쓴 것들이 재미있었습니다. 평소 글을 길게 많이 쓰는 아이들이 아니었음에도 요리에 관한 글은 자세히 설명과 함께 신나게 썼던 기억들이 납니다.
6. 작문대회를 맞이하는 학생들에게 하고싶은 말을 남겨주세요:
유민선 선생님: 글쓰기를 어떠한 수단, 예컨대 학교 성적, 대학 입시나 대회에서의 수상 등을 위해 잘해야 한다는 이유에서가 아니라, 자신의 삶을 풍요롭게 하고 자신을 살리는 글쓰기를 꾸준히 하는 학생들로 자랄 수 있도록 하는데 작문 시간이 도움이 되면 좋겠어요. 끊임없이, 꾸준히 매일 단 한 문장으로라도 자신의 생각과 상황을 기록해 나가는 습관을 배워나갔으면 해요. 꾸준히 기록하는 그 '한문장'의 기록이 삶에 큰 변화를 줄 거라 생각해요.
이승현 선생님: 글을 쓴다는 것은 그릇에 물을 담는 것과 같아서 글이라는 그릇에 물이라는 생각을 넣어 글을 쓰면 돼요. 따라서 글쓰기를 너무 어려워하지 마세요. 머릿속에 떠오르는 자신의 생각을 스스럼 없이 글로 표현하면 되니까요. 두려움없이, 망설임없이 자유롭게 글을 써내려 가는 것이 글쓰기 첫걸음 이에요. 글 쓰는 일을 즐기다 보면 어느 순간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놀라운 문장들과 창의적인 표현들로 가득찬 자신의 글을 만날 수 있을거예요. 그 날이 기다려지지 않나요?
김자영 선생님: 한국어를 잘 하는 학생들이 글을 더 잘 쓰는 것은 당연합니다. 하지만 앞으로 글이 계속해서 늘기 위해서는 자신과 주변에 관심을 가지고 바라보고 생각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그 생각한 것을 글로 정리하고 표현 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우리 아이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은 아침에 일찍 일어나 잠시 여유를 가지고 하루의 시작을 생각하고 하루를 마무리 하면서도 뒤돌아 보며 잠을 청할 수 있는 습관과 규칙적인 생활을 추천하고 싶습니다. 그리고 가족, 이웃, 계절의 변화, 사회의 흐름 뿐만 아니라 아주 작은 것들도 관심있게 관찰하고 생각하는 저희 아이들이 되었음 합니다.
For years, writing competitions have been a tradition at the Korean School of New England. There is typically one schoolwide competition and another one that combines students from multiple Korean Schools. KSNEAN interviewed three writing teachers at the Korean School to find out about the background and intention of these competitions.
1. How many years did you teach writing at Hangul school?
Ms. Yoo Min-sun: I have been teaching writing since 2004, so I am in my 18th year.
Ms. Lee Seunghyun: Hello, I taught students for 7 years as a homeroom teacher of the gold ax class in the 3rd basic course at a Korean school in New England, and now I am teaching writing as a writing teacher for 3 years.
Ms. Kim Ja-young: I've been writing for three years since I started in autumn 2019.
2. How did you coordinate your writing classes for the writing contest? (Which one do you focus more on?)
Ms. Yoo Min-sun: Until 2020, before the online classes started due to COVID, I taught Silla students, who mainly had 2nd and 3rd graders, and I have been teaching writing for Joseon/Korean classes, which mainly have 6th and 7th graders, since fall 2020. For Silla class, short fairy tales and writings were read and written together. Students of that age are very interested in listening and reading new stories. Even though it's a little difficult to talk or write about your thoughts and feelings in an organized way, the students are interested and curious about stories in various fields, so they concentrate well when they read good writings in the writing class.
Currently, the intermediate class mainly coaches the overall writing. In the spring semester, the contents of the book "From Doodle to Decline," which provides ‘writing coaching’, are taught in a way that I prepared for 15 weeks of school and practice the topics. Not only do they write in Korean, but they also practice what they need to improve on in general. Starting with writing down thoughts, we practice weekly how to describe people/space/time.
In the fall semester, we are trying to teach how to write our own lives so that they can be a story, as the title of this book is, by writing a book by Susan Tibergien, "One Year for a Writing Life." In order to teach people to write their own stories in middle and high school, such as writing personal essays and writing opinion essays, and to encourage creative activities, they are conducting "creative writing" at school writing contests
Ms. Lee Seung-hyun: I'm teaching beginner's course 1 and 2 classes in Shilla.
Ms. Kim Ja-young: Currently, I only taught Baekje class.
3. Why do you think the school writing contest is helpful for students?
Ms. Yoo Min-sun: For the writing contest, we don't adjust the class time separately, and we encourage students to revise and supplement their fairy tale writing creations to Google Class every week. The goal is to give students who have been writing steadily a chance to create novels, fairy tales, and essays, so that they can be confident that they can create good writings if they write them in their daily lives
Ms. Lee Seung-hyun: In Silla’s writing class, they usually learn basic sentences, various kinds of sentences, and express sentences vividly in the fall semester. And from the spring semester, I give specific topics and write according to the format of the competition. What I focused more on for this writing competition was the creation of the mind map after brainstorming so that students could express their thoughts calmly without being troubled by any topic on the day of the competition.
I focused on how to make it.
Ms. Kim Ja-young: In the case of the school writing contest, we did 'simultaneous writing'. The reason is that children who are good at writing have many chances to win prizes, but I wanted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children who have difficulty writing to produce good works and win prizes. In the case of simultaneous writing, even children who have difficulty writing long sentences can creatively express their feelings and thoughts in simple words. I think it's at the same time that any child who has deep thoughts and looks at things and surroundings with interest can express them well.
4. Is there any interesting or memorable work that the students wrote as homework?
Ms. Yoo Min-sun: I think the school writing contest will be a good opportunity for all students to write in Korean. I think I will be able to have confidence in writing Korean if they write more through competitions like these after doing short homework and practicing Korean. I think it's better to use it as an opportunity to know how much it can be delivered to readers when they translate their thoughts into writing, not whether or not they win the prize or not. Just because you didn't get good outcomes in the competition doesn't mean you can't write well in Korean. If you are a student who is constantly good at writing and has a habit of taking notes on your thoughts, I think you are already a great writer regardless of whether you win the contest or not.
Ms. Lee Seung-hyun: I think the school writing contest can be a valuable time to evaluate each student's writing skills and help them prepare confidently for the upcoming local writing competition.
Ms. Kim Ja-young: In the case of suburban writing competitions (regional competitions), we usually teach each class how to write well. And every time I talk about it over and over again, I remind myself to remember it. To prepare for the competition, we teach you the overall structure and how to write in a fun way while expressing your thoughts and feelings in it.
5. What class are you in charge of now? If you teach several classes, do you teach them in different ways?
Ms. Yoo Min-sun: I gathered students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writing contest and held a special writing class. In that year, my students were four or five years old, and I was able to get together and teach them. Children of that age, who couldn't tell right from left to right and just spelled Korean, gathered in the classroom. Did he volunteer to participate in a writing contest at that young age? It was so cute, and I was proud of him. When the topic of writing comes out, we explain how to write about it and talk to each other. After a short lesson, I wrote two topics on the blackboard, "Playground / My Birthday," and started writing, "Let's write about this content." After 10 minutes to 15 minutes, the children started to slide down the chair, tap on the desk, and start talking with their friends. That's how the class ended, and curiously, the children left the classroom leaving a full page of writing. I was surprised when I read the story. More than half of the children, about seven or eight children, filled a page with the words "Playground / My Birthday" that I wrote on the blackboard over and over again. I remember laughing at the seriousness and sincerity that I wrote for 15 minutes, thinking that I would fill a page with that long time to prepare for the writing contest with my small hand, which was holding a pencil awkwardly.
Ms. Lee Seung-hyun: I gave what I want to be if I could transform for a day and what I want to do after transforming into writing homework, and a student said she wanted to transform into a mother because she could eat a lot of candy and nag me again. It was interesting because it was a piece of writing that gave a glimpse into the thoughts of a pure child that anyone could relate to. The most memorable work was a homework on the topic of weather, and it was impressive that he wrote a creative title called Weather Forecast in Our Fishing Port and wrote a unique description of the weather from the perspective of fish.
Ms. Kim Ja-young: I gave my writing homework under the theme of "Happy Cooking with Mom," and it was fun to write various dishes in detail. Not only California rolls, chocolate bread, cookies, etc., but I also enjoyed cooking green curry with coconut milk, marshmallow cereal cone, and souffle pancakes with my mom, which I had never made before, and it was fun for my family to write. Even though they were not children who usually wrote long sentences, I remember writing about cooking in detail and having fun.
6. Please leave a message for the writing contest contestants:
Ms. Yoo Min-sun: I hope writing time will help students grow up to enrich their lives and continue to write to save themselves, not because they have to do well by any means, such as school grades, college entrance exams, or awards at competitions. I hope you learn the habit of constantly and steadily recording your thoughts and situations in even one sentence every day. I think the record of the Chinese sentence, which is constantly recorded, will make a big difference in life.
Ms. Lee Seung-hyun: Writing is like putting water in a bowl, so you can put the idea of water in a bowl. So don’t have the mindset that it’s too difficult to write. Anyone can express your thoughts in writing without hesitation. The first step in writing is to write freely without fear or hesitation. If you enjoy writing, you will find your writing filled with amazing sentences and creative expressions at some point. Aren't you looking forward to that day?
Ms. Kim Ja-young: No wonder Korean-speaking students are better at writing. However, in order to continue to improve in writing in the future, you need to have a habit of looking at and thinking about yourself and your surroundings. I think it's important to improve your ability to organize and express your thoughts in writing. So what I want to say to our children is that I want to wake up early in the morning, think about the start of the day for a while, and develop a habit of looking back and reflecting on the day before sleeping. And I hope that our children will be interested in observing and thinking about families, neighbors, seasonal changes, social trends, and even the smallest things.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