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백제 1&2반 인터뷰- Baekjae 1&2 Interview

KSNEAN Editors

Written by YeEun Lee

Edited by Sol Heo


인형극에 대해 더 많은 정보를 얻기 위해 저는 백제 1반과 백제 2반 두 선생님들과 인터뷰를 했습니다. 간단히 자기 소개를 한후에 저는 인형극을 성공적으로 하기 위해 필요한 준비물들에 대한 질문으로 인터뷰를 시작 했습니다. 학생들과 선생님들은 인형을 위한 여러개의 막대기, 상황에 맞는 예쁜 배경 화면과 장면들을 효과적으로 보여 줄수 있는 Document 카메라를 사용 했다고 들었습니다. 인형극을 시작 하기전에 창조적이고 기술적인 측면에서 선생님들은 전반적인 인형극에 대한 주제, 여러가지 다양한 연극, 인형극의 역사, 그리고 준비해야 할 메인 아이디어에 대해 토론을 했어야 했었다고 합니다. 지난해와는 다르게 이번에는 줌을 통해 연극을 해야 했었는데 학생들이 화면에 집중을 잘 했고 전반적으로 진행이 원만히 잘 진행되었다고 선생님들이 말씀 하셨습니다. 또한 줌의 기능을 통해 학생들을 쉽게 음소거를 하거나 음소거 해제를 간단히 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어떤 학생이 이야기를 할때 이 학생만 음소거를 해제 하고 컴퓨터의 내장된 마이크로폰 으로 이야기를 하게 해서 주위의 시끄러운 소리와 분위기가 산만해 지는걸 최소화 시킬수 있었다고 합니다. 인형극을 하기 약 2주 동안 학생들은 3번의 리허설을 했었고 이 연습하는 동안 교과서로만 수업하는 평소 수업시간 보다 학생들은 훨씬더 재미있는 시간을 보냈다고 합니다. 평소에는 접해 보지 못했던 경험이었고 프로젝트 한다는 것이 재미있고 흥미로운 일이라는 것을 학생들이 알게 되었다고 합니다. 부모님들도 자녀들이 열심히 준비한 인형극을 보고 정말 좋아 했었다고 합니다. 비록 이 인형극이 대면이 하닌 줌을 통해 리모트로 진행이 되어 안타까웠지만 학생들과 선생님들은 정말 재미있는 시간을 보냈다고 합니다.



I conducted an interview with both of the Baekje 1 and 2 teachers in order to gather more information about the play. After briefly introducing ourselves, I began by asking about the materials that were needed to make this play successful. I was told that the students and teachers used multiple sticks for the mini puppets, backgrounds for aesthetic and practical purposes, and a document camera for effectively showing the scenes. However, before getting started with the creative and technical aspects of the play, the teachers felt compelled to have a discussion around the topic of plays in general, different types of plays, the history of plays, and the main idea of the play that they were going to prepare for. Different from previous years, this play was done through zoom. The teachers mentioned that the process went more smoothly as the students were all focused on one screen. Additionally, zoom’s features allowed students to easily mute and unmute themselves. When it was someone’s turn to talk, he/she was the only one unmuted, talking into the computer’s built-in microphone. Background noises and distractions were minimized. Approximately two weeks before the play, the students had three practice rehearsals. During this time, the students had a lot of fun especially because typical classes were usually based on textbooks. Because this was a slightly different experience, the students were able to find this project very enjoyable and exciting. The parents claimed to have liked it as well when they saw the students showcase their hard work.


4 views0 comments

Recent Posts

See All

뉴잉글랜드 한국학교 보조교사들이 직접 선정한 2024년 올해의 키워드 | Keywords of the Year 2024, selected by the Korean School of New England's Assistant Teachers

작년에 이어 올해도 KSNEAN은 새해를 맞이하여 뉴잉글랜드 한국학교의 교사와 보조교사들이 생각 하는 올해의 키워드를 알아보기로 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2024년을 가장 잘 표현 할 수 있는 ‘내가 생각하는 올해의 키워드’와 다가오는...

설날 떡국 레시피 | Seollal Rice Cake Soup Recipe

재료 떡국 떡 300g 대파 1/2 개 계란 1 개 간장 1 큰술 소금, 후추, 참깨 (기호에 맞게) 물 5컵 (필요 시 더 추가) 멸치 10마리 다시마 1 조각 요리법 떡을 물에 약 20분 동안 담가 준비합니다. 멸치 4마리의 내장을 제거한 후...

2025년 한국 트렌드 키워드 | 2025 Korean Trend Keywords

언어는 사회의 변화를 반영하며 진화한다. 따라서 언어를 통해 시대의 트렌드와 세대의 생각이나 가치관에 대해 알 수 있다. 2025년을 맞이하면서 <트렌드 코리아>에 실린 2025년의 트렌드 키워드를 통해 올 한 해의 전망을 살펴보고 요즘 Gen...

Comments


Official Student Newspaper of KSNE

 

 

뉴잉글랜드 한국학교 - Korean School of New England

http://ksneusa.org/

© 2021-22 KSNEAN 



K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