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기후 위기: 지속 가능한 미래를 향한 노력

최중은 Joongeun Choi

Updated: Nov 8, 2024



우리는 더 이상 돌아갈 길이 없다. 현대 시대의 가장 위급한 세계적 위협인 기후 변화는 이미 되돌릴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하다. 지구의 평균 기온은 수천년 이래 사상 최고 수준이다. 해수면 상승은 섬과 해안 도시를 물에 잠기게 한다. 환경 오염과 삼림 벌채는 동물을 위험에 빠뜨리고 자연 생태계의 취약한 균형을 무너뜨린다. 지난 몇 년 사이 인도네시아는 수도를 이전하기로 결정했으며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이미 많은 피지인들이 이주했다. 지난여름 한국에 있는 가족들에게 전화를 걸거나 직접 방문했다면 사람들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기온에 대해 불평하는 것을 들었을 것이다.


단순히 오늘날 우리가 살고 있는 산업 사회에서 벗어나는 것은 선택지에 없다고 가정할 때, 답은 우리가 세계 공동체로서 얼마나 빨리 협력하여 순 제로(net zero), 즉 탄소중립을 달성하는지에 달려 있다. 한국의 경우, 급격한 경제성장과 산업화로 인해 지속 가능하지 않고 비용은 많이 드는 에너지인 수입 석탄과 석유를 과하게 소비해왔다. 결국 2021년 한국은 탄소배출량 세계 10위를 기록했고, ‘203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2018년 대비 40% 감축할 것’이라는 목표와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목표는 지구 온난화로 인한 최악의 영향을 피하기 위해 우리가 달성해야 하는 최소한의 목표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글로벌 리더와 개인(이 글을 읽는 당신까지) 모두 각자의 역할을 다해야 한다. 우리의 개인적인 기여는 지구 온난화의 속도를 늦출 뿐만 아니라 과학자들이 지구 온난화의 영향 및 빠른 진행을 완화시키는 기술을 개발할 시간을 벌어줄 것이다.


많은 단체들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다. 기술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고 큰 영향을 미칠 만큼 쉽게 확장되지 않을 가능성이 많지만, 결과는 유망하다. MIT가 그러한 기관 중 하나다. MIT 연구원들은 소금물을 마실 수 있는 물로 바꿀 효율적이고 새로운 방법을 찾고 있다. 일부는 환경 친화적인 콘크리트를 만들어 지구 온난화에 대처하고, 다른 일부는 AI를 활용하여 캠퍼스 냉난방에 소비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하려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UN에서는 단순히 증가하는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밝혔기에,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우리 모두가 최대의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 뉴잉글랜드 한국학교도 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시작했다. 필자는 새학기 시작부터 2층에서 복사기 일을 돕고 있는데, 수백 장의 단면 학습지를 인쇄하면서 죄책감을 느낄 수밖에 없었다. 본인도 약 10년 동안 한국학교 학생이었기 때문에 매년 말에 다시는 보지 않을 종이가 얼마나 산더미처럼 쌓이는지 알고 있다. 환경적으로는 이상적이지만, 어린 학생들에게 디지털 매체를 통해 가르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은 이해한다. 그러니 이 글을 읽고 있는 선생님이 계시다면 종이, 전기, 잉크 뿐만 아니라 인쇄 시간까지 절약할 수 있는 양면 인쇄를 부탁드린다. 그렇게 하면 수업 자료를 현재 걸리는 시간의 절반만에 인쇄할 수 있다. 우리 모두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인쇄 혼잡을 방지하고 싶을 것이다.


뉴잉글랜드 한국학교는 수십 년간 운영되어 오면서 수업 과제와 숙제의 실제 사본을 인쇄하는 데 크게 의존하고 있다. 환경적 부담이 계속해서 증가함에 따라 우리 한국학교 공동체가 자원을 절약함으로써 제 역할을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우리가 공동체로서 함께 노력한다면 환경을 보존하고 앞으로 수십 년은 더 미주 한인 세대를 계속해서 교육할 수 있을 것이다.


The Climate Crisis: Striving For a Sustainable Future


Translated by Joongeun Choi


We have reached a point of no return. Climate change: the most pressing global threat of the modern era has already passed the verge of irreversibility. Since thousands of years ago, the average global temperature has been at an all-time high. Rising sea levels engulf islands and flood coastal cities. Pollution and deforestation endanger animals, tipping the fragile balance of nature’s ecosystems. Within the past few years, Indonesia’s capital was determined to be moved, and many Fijians have already been relocated due to rising sea levels. If you have called family back in Korea this past summer or even visited yourself, you have probably heard people complain about the abnormally high temperatures.


Assuming that simply walking away from the industrial society we live in today is not an option, the answer depends on how soon we as a global community collaborate to achieve net zero—having overall neutral carbon emissions. In the case of South Korea, due to its rapidly growing and heavily industrialized economy, Korea expends imported coal and oil for energy which is unsustainable and costly. Eventually, South Korea ranked 10th in the world for carbon emissions in 2021, and Korea set a goal to reduce carbon emissions by “40% below 2018 levels by 2030” and plans to be carbon neutral by 2050.


However, these goals represent the bare minimum we must achieve in order to avoid the worst possible repercussions of global warming. It will take global leaders and individuals (yes, you) to do their respective parts. Our individual contributions not only stall the rapid pace of global warming, but also buy time for scientists to develop technologies that mitigate its impacts and abate its progression.


Many organizations are racing to resolve these issues. The results have been promising, though the technologies are at a fledgling stage and are not easily scalable to have a global impact. MIT is one such institution; its researchers are discovering new methods that convert salt water to drinkable water more efficiently than ever before. Some tackle global warming by creating environmentally friendly concrete while others utilize AI to minimize energy consumed for heating and cooling the campus. Still, the UN has stated that simply reducing the ever-increasing carbon emissions is not enough, so it is important that we make every effort to reduce our carbon footprint.


Thus, I began to search for ways that our Korean School could reduce emissions and conserve resources. Since the start of the new semester, I have been helping out with the photocopier on the second floor. I could not help but feel guilty as I printed hundreds of SINGLE SIDED worksheets. Having been a former student for nearly a decade myself, I know how much paper piles up at the end of each year that is to never be looked at again–a mountainous pile. Though it would be ideal for the environment, I understand that it is difficult to teach through digital mediums to young students. So if you are a teacher who is reading this article, I kindly request that if possible, you print double-sided to not only conserve paper, electricity, and ink, but also to save printing time. That way, we can get class materials printed in half the time–I think we all would like to prevent the recurring printing traffic jams.


The Korean School of New England has been running for decades and relies heavily on printing physical copies of classwork and homework assignments. As the environmental burden continues to increase, it is imperative for our Korean School community to play its part by conserving resources. With our collective effort, we can preserve our environment and continue educating the future Korean-American generations for many more decades to come.


5 views0 comments

Comments


Official Student Newspaper of KSNE

 

 

뉴잉글랜드 한국학교 - Korean School of New England

http://ksneusa.org/

© 2021-22 KSNEAN 



K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