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 Taeyu Kim
First of all, if you’re planning to read this book, you should get ready to cry.
This book is a memoir of a half Korean half white woman named Michelle Zauner who writes about her experiences while growing up with Korean culture but mainly the loss of her Korean mother Chongmi to cancer and what she faces during it and afterward.
Wonderfully and so simply written, it’s easy to fall into the story like it’s your own, especially as a Korean-American. The little anecdotes and Korean phrases neatly inserted into the writing makes it especially familiar- I mean what Korean kid hasn’t had their Korean parent(s) pinch their nose and tell them it’s flat?
The Koreanness of the book itself is something that really drives the book home. The culture surrounding food and how it is so powerful is well represented (maybe a bit too much, seeing that I almost cried about the food). It ties memories together so well throughout the book but also to the reader and it kept making me think about my own experiences with food, and that was enough to really make me feel as though I was learning along with the author, the loss, and love that food can bring.
The way that the story is organized, with past, present and future mixed into one flavorful smoothie, it makes it so real, and so personal, which made me especially fall in love. The way the author was so honest with everything that happened and facing the fact that things fell apart and things were falling apart regardless of what she wanted to wish made my heart ache.
That kind of brutal honesty applied to her mother, too – despite all the good and everything she missed about her mother, she acknowledged her faults but also her own faults in their intertwining lives to show the imperfections in such a melancholy manner.
I think the thing that stood out the most was that there was an after. Most of these kinds of stories feel like it ends when the tragedy strikes and the characters cope, but “Crying at H Mart” shows how there are losses past the central tragic one, that there is more change to come. Life doesn’t stop for anything or anyone, and the rush of living in a world like ours is so gracefully expressed in the storyline.
The emotions that carried the story, like the heartbreak, sorrow, bitterness, anger, embarrassment, shame, and deep agony of seeing someone dying are unforgettable. There’s a cruel beauty within the chaos of pain, I think, and this book is able to express it in what feels so simple and short.
How could I not want to read it over and over again? Despite how short the actual book is, only 217 pages, it felt like I was living through someone’s life. The significance of culture, the pain of youthful times and uncontrollable emotions, wondering if you really love someone, how brief and fragile life can be and how hard it is to glue the pieces of what shattered all together again- it hit me like a brick to the face.
It’s absolutely a book to read, and I hope that it touches your heart as much as it touches mine.
Korean version:
우선, 이 책을 읽을 계획이라면 울 준비를 해야 한다.
이 책은 반쪽짜리 백인 여성 미셸 조너의 회고록으로, 한국 문화와 함께 자라면서 겪은 경험들을 주로 쓰고 있다.
놀랍고 간단하게 쓰여져 있고, 한국계 미국인으로서 자신의 이야기처럼 빠져들기 쉽다. 글에 깔끔하게 삽입된 작은 일화들과 한국어 문구들이 특히 친숙하게 만든다 – 아이들의 코를 꼬집어 납작하다고 말하지 않은 한국인 부모들이 어디 있습니까?
책의 한국성 자체가 이 책을 정말 뼈저드리게 하는 것이다. 음식을 둘러싸여있고 얼마나 강한 문화인지 잘 표현되어 있다(음식 때문에 울 뻔한 걸 보니 좀 과한 것 같다). 책 전체는 물론 독자들에게도 추억을 잘 이어주며 나 자신의 음식 경험담을 계속 생각하게 하고, 그 음식이 가져올 수 있는 상실감과 사랑을 작가와 함께 배우는 듯한 느낌을 주기에 충분했다.
과거, 현재, 미래가 하나의 향긋한 스무디에 섞인 스토리가 너무나 실감나게, 또 너무나 개인적인 느낌으로 짜여져 있어 책과 사랑에 빠지게 됐다. 일어나는 모든 일에 너무나 솔직하고, 소원과는 상관없이 일이 무너지고 무너지는 현실을 직시하는 저자의 모습이 가슴을 먹먹하게 했다.
그런 종류의 잔인한 정직함이 그녀의 어머니에게도 적용되었다 – 어머니의 모든 선함과 그리운 모든 것에도 불구하고, 저자는 결점을 우울하게 보여주기 위해 그들의 얽히고설킨 삶에서 자신의 결점을 인정하기도 했다.
가장 눈에 뛰었던 것은 애프터(After)가 있었다는 점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종류의 이야기들은 대부분 비극이 닥치고 등장인물들이 대처하면 끝나는 것처럼 느껴지지만, <H마트에서 울다>는 중앙 비극을 지나 손실이 얼마나 큰지, 앞으로 더 많은 변화가 올 것임을 보여준다. 삶은 무엇이나 누구를 위해 멈추지 않고, 우리 세상의 서두름은 줄거리에 너무나 우아하게 표현되어 있다.
누군가가 죽어가는 모습을 보는 슬픔, 슬픔, 쓰라림, 분노, 당혹감, 수치심, 깊은 고통 등 이야기를 실어 나른 감정은 잊을 수 없다. 고통의 혼돈 안에는 잔인한 아름다움이 있는데, 이 책은 그토록 단순하고 짧게 느껴지는 것으로 표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어떻게 읽고 또 읽고 싶지 않을 수가 있지? 실제 책이 217쪽밖에 안 되는 짧은 시간임에도 불구하고 누군가의 삶을 살아가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문화의 의미, 젊음의 아픔, 걷잡을 수 없는 감정, 누군가를 정말 사랑하는지, 삶이 얼마나 짧고 연약할 수 있는지, 산산조각 난 것들을 다시 붙이는 것이 얼마나 힘든지 궁금해하는 것, 그것이 벽돌처럼 얼굴을 강타했다.
꼭 읽어야 할 책이고, 내 마음을 닿는 만큼 네 마음을 닿기를 바란다.

Comenta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