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는 사회의 변화를 반영하며 진화한다. 따라서 언어를 통해 시대의 트렌드와 세대의 생각이나 가치관에 대해 알 수 있다. 2025년을 맞이하면서 <트렌드 코리아>에 실린 2025년의 트렌드 키워드를 통해 올 한 해의 전망을 살펴보고 요즘 Gen Z 세대 사이에 유행하는 단어들을 함께 살펴보면서 Gen Z 세대에 대해 알아보자.
2025년의 트렌드 키워드
1. 옴니보어: 잡식성 소비와 다양한 취향을 가진 소비자들을 의미한다. 남성도 화장을 하고, 여성도 술집에 가는 등 고정관념에 얽매이지 않고 개성과 관심에 따른 자신만의 소비 스타일이 더 중요한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2. 아보하: 행복해야 한다는 강박에서 벗어나 무난하고 무탈한 아주 보통의 하루에 만족하자는 의미다. 일상에서 성실하게 해야 할 일을 하며, 나 답게 살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3. 토핑경제: 독창적인 개성을 추구하는 고객이 액세서리나 기호를 추가해서 자신만의 상품을 만들어 자신을 표현하는 소비 트렌드이다. 가방을 꾸미거나, 스마트 워치 줄을 여러 개 사서 상황에 맞춰 교체하는 것 등이 이에 해당한다.
4. 페이스테크: 기계에 표정을 입히고 기계가 사람의 표정을 읽어 감정을 파악하는 AI 기술을 의미한다. 기계가 사람의 표정을 짓거나 사람의 표정을 분석해 인간적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제품이나 서비스가 핵심 경쟁력으로 떠오르고 있다.
5. 무해력: 작고 귀엽고 순수한 것이 갖는 힘이다. 귀여운 열쇠고리, 반려돌, 아기 푸바오나 강아지 처럼 작고 귀여운 것에 열광하는 이유는 불필요한 자극이나 스트레스를 주지 않고 심리적 안전감을 주기 때문이다.
6. 그라데이션 K: 한국적인 것과 세계적인 것이 혼 합되는 트렌드이다. 한국의 문화, 음식, 상품, 예능 등이 세계로 뻗어 나가는 동시에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이 늘어나고 한국이 세계의 문화를 받아드리면서 완전히 한국적인 전통이 점점 희미해지고 한국이 다문화 국가로 변화하고 있는 과정을 뜻한다.
7. 물성매력: 직접 만질 수 있고 느낄 수 있는 것의 매력을 뜻한다. 디지털화 된 세상에서도 대면으로 만나기를 원하고 직접 체험하면서 느끼는 만족감을 중요시하는 사람들이 영화, 공연, 음식 등 오프라인 경험을 추구하는 트렌드를 나타낸다.
8. 기후감수성: 기후 변화가 생존의 위험인 것을 인식하고 기후 문제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태도를 의미한다.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고 승용차 보다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이 영수증 대신 전자 영수증을 발급하는 등 종 기후 변화를 막기 위한 선택과 행동을 실천하는 소비자의 의식을 뜻한다.
9. 공진화전략: 상호 연결하고 협업하여 성장하는 전략이다. 어려운 경기 상황에서도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 다른 기업, 심지어 경쟁자와도 협업하는 비즈니스 방식이다.
10. 원포인트업: 거창한 목표보다 실천 가능한 ‘내가 잘할 수 있는 한 가지’에 집중해 실천하는 자기 개발을 의미한다.하루 10분 운동, 책 읽기, 글 쓰기 등 꾸준히 할 수 있는 일을 목표로 삼고 실천하며 자신을 발전시키는데 의미를 둔다.
2025년 트렌드 키워드를 보면 개성과 개인의 취향 그리고 자율성을 중요시하고 스트레스 없는 평범한 일상 속의 자신을 위주로 한 삶을 추구하는 트렌드를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요즘 유행하는 ‘소확행’ (작지만 확실한 행복)과 ‘나심비’ 나만의 심리적 만족을 위한 소비)는 개인주의를 우선시하는 Gen Z 세대의 성향을 잘 보여준다.
그리고 ‘욜로족’(YOLO, You Live Only Once 어리석거나 좀 위험해도 즐겁거나 흥미로운 일을 하며 살아야 한다고 믿는 사람)과 ‘복세편살’(복잡한 세상 편하게 살자) 같은 유행어는 불확실한 미래에 얽매이고 투자하기보다는 현재 삶의 만족을 추구하는 Gen Z의 태도를 보여주는 반면 ‘파이어족’(FIRE: Financial Independence Retire Early를 실천하는 사람)이나 ‘N잡러’ (여러 개의 직업을 가진 사람) 같은 유행어는 소비를 극단적으로 줄이고 투잡 등을 하며 자산을 쌓아 30대 후반에서 40대에 은퇴해서 인생을 즐기자는 Gen Z세대의 양자 구분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유행어가 끊임없이 만들어지고 있고 우리는 이런 유행어를 통해 시대의 흐름을 파악하고 세대 사이의 이해와 소통을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올 한 해도 어떤 신조어가 만들어지고 사회 트렌드에 어떤 변화가 있을지 주의 깊게 지켜보며, 우리는 이러한 변화를 어떻게 받아들일지 고민해봐야겠다.
Language evolves as society changes. Therefore, language can tell us a lot about a generation's trends, thoughts, and values. As we approach 2025, let's examine Trend Korea's trending words for 2025 to see what the year will bring and learn more about Gen Z by looking at the words currently popular among Gen Zers.
Trending words for 2025:
1. Omnivore: This refers to consumers with diverse tastes. Men wear makeup, women go to bars, and so on. Nowadays, it is more important than ever for people to have individualized consumer preferences based on their personality and interests.
2. Aboha: An abbreviation for 'a very ordinary day,’ aboha means to be satisfied with a typical, uneventful day, free from the compulsion to be happy. It is about being yourself.
3. Topping Economy: This is a consumer trend in which customers who seek to be unique express themselves by personalizing their products. Examples include customizing a bag or buying multiple smartwatch straps to swap out depending on the occasion.
4. Facetech: Facetech refers to AI technology that allows machines to read and emulate human facial expressions and emotions. Products or services enabling machines to make or analyze human facial expressions and interact with them in a human-like manner are emerging as core competencies.
5. Harmlessness: The power of something small, cute, and innocent. People are obsessed with small and cute things like keychains, pets, and puppies because they provide psychological safety without causing unnecessary stimulation or stress.
6. Gradient K: This trend blends Korean and global trends. As Korean culture, food, products, and entertainment expand beyond Korea, the number of foreigners living in Korea and foreign influence increases. As a result, Korean traditions are disappearing as Korea becomes more multicultural.
7. Physical attraction: “물성매력” refers to the attraction of things that can be touched and felt. Even in a digitized world, people who want to meet face-to-face and value hands-on experiences pursue offline experiences such as movies, performances, and food.
8. Climate sensitivity: The attitude of recognizing climate change and actively responding to climate issues. It is a consumer's awareness of and actions to combat climate change, such as reducing the use of single-use products, taking public transportation instead of driving, and using e-receipts instead of paper receipts.
9. Co-evolutionary strategy: A strategy of collaborating to grow. It is a way of doing business that involves collaborating with other companies, even competitors, to adapt to tough economic times.
10. One-point-up: A personal development practice focusing on small actionable steps rather than grandiose goals. It is about targeting and doing something you can do consistently, such as exercising 10 minutes a day, reading a book, or writing.
Trending keywords for 2025 reveal a trend toward individuality, personal preferences, and a desire for a stress-free, mundane, and self-centered life. Likewise, the current trends of “micro-happiness” (small but sure happiness) and “nasimbi” (spending for personal psychological satisfaction) reflect Gen Z's tendency to prioritize individualism.
Buzzwords like “YOLO” (You Live Only Once, a person who believes you should live your life doing things that are fun or interesting, even if they are foolish or risky) and “Boksepsal” (living comfortably in a complicated world) reflect Gen Z's attitude of seeking satisfaction in the present rather than investing in an uncertain future, while “FIRE: Financial Independence Retire Early) and “N-Jobbers” (people who work multiple jobs) illustrate the contradictory tendency of some Gen Zers to cut back on consumption, work two jobs, and build wealth so they can retire in their late 30s and 40s.
Many other buzzwords are constantly being coined, and we can use them to keep up with the times and improve communication between generations. Therefore, we should pay close attention to what new words will be created this year, what social trends will occur, and how we will accept these changes.
Lucas Arajo
Comment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