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2021년 한글날 맞이 수업

KSNEAN Editors

Updated: Nov 20, 2021

By Sunhee Heo (허선희)


한글은 자랑스러운 우리나라 말이다. 겨우 육백년채 안된 이글은 훨씬 역사가 긴 중국어의 한자나 영어의 알파벳보다도 과학적이고 배우기 쉬운 글씨라 할수있다. 무엇보다 이언어가 만들어지게 된 취지가 너무나도 훌륭하다. 백성들이 어려운 한자를 배우기는 거의 불가능 했기 때문에 신분과 상관없이 누구나 쉽게 접하고 사용할수 있는 글을 세종대왕님께서 만드셨다. 지구상의 수많은 나라중 고유의 글씨를 가지고 있는 나라는 손에 꼽힐 정도인데 한국이 그중 하나다. 이 글을 소중히 여겨서 우리 뉴잉글랜드 한국학교는 각 반에서 각기다른 형식으로 이 날에 대해 배우는 기회를 가졌다.

Hangul is the proud language of Korea. This writing system, which is only six hundred years old, is more scientific and easier to learn than Chinese characters or the English alphabet, both of which have a much longer history. Above all, the reason for the creation of this system is incredible. Because it was impossible for commoners to learn to read and write Chinese characters, King Sejong the Great invented a system that anyone could easily learn and access regardless of their status. There are only a handful of countries in the world that have their own unique alphabets, and Korea is one of them. In celebration of Hangul-nal, or Hangul day, each class at our New England Korean School learned about this amazing alphabet in various ways.


기초과정의 흥부놀부반은 한글은 누가만들었고 첫 이름이 무엇이고 만들어진 것을 기념하는 날이 언제인지에 대해 간단한하게 배웠다. 또한 아이들이 이내용에 관한 여러사진들을 살펴보고 주 단어들인 ‘세종대왕’, ‘ 훈민정음’, ‘ 한글날’, ‘ 10월 9일’을 한번씩 써보기도 했다.

The Heungbu and Nolbu classes learned about who invented Hangul, what its original name was, and when the holiday to celebrate its creation was. In addition, the children looked at several pictures of the contents and wrote out the keywords “King Sejong”, “Hunminjeongeum” (Hangul’s original name), “Hangul Day”, and “October 9th” .


초급과정의 고구려반에서는 조금 다르게 세종대왕의 여러업적에 관한 수업을 했다. 세종대왕이 창제한 앙부일구, 측우기, 해시계, 아악정리, 훈민정음 등에 대해 배웠고 한글날인 만큼 특별히 훈민정음을 중심적으로 살펴봤다. 훈민정음의 창제 이유와 과정 그리고 훈민정음 서문 (훈민정음 해례본)을 배우고 훈민정음식 성조법으로 훈민정음 해례본의 어제서문 낭독을 듣고 따라 읽어 보기도했다.

In the Goguryeo class, they learned not only about the creation of Hangul, but of the various achievements of King Sejong the Great. They learned about his inventions such as the angbuilgu, cheugugi, sundial, aakjeongri, but focusing primarily on Hunminjeongeum, as it was Hangeul Day. They learned the reason for and the process of the creation of Hunminjeongeum, the introduction to Hunminjeongeum (Hunminjeongeum Haeryebon), and listened to and read along with the reading of the Hunminjeongeum Haeryebon using the Hunminjeongeum tone method.


중급과정의 조선반에서는 영상으로 아이들이 세종대왕에 대해 다시한번 배웠고 한글 창제 당시에 상황에 대해 배우기도 했다. 아이들의 참여도와 수업에 재미요소들을 추가하기 위해 역사 OX 퀴즈와 한글을 이용한 새로운 디자인만들기 액티비티도 했다.

In the Joseon class, the children learned about King Sejong once again through a video and also learned about the historical context at the time Hangul was created. In order to encourage participation and add fun elements, they had a history OX quiz and did a new design making activity using Hangul.


마지막으로 고급과정의 한라반에서는 한글의 역사부터 현재 어떻게 쓰이는지 등을 배웠고 이에 대한 다양한 사실들을 간단한 워크시트로 리뷰했다.

Finally, in the Halla class, they learned the history of Hangul, how it is currently used, and other various facts about it through a simple worksheet.


이러한 다른 방법의 형식들로 뉴잉글랜드 한국학교의 모든 학생들이 이날을 진심으로 기념했다. 한글날 그리고 한글이라는 훌륭한 언어에 대해 더욱더 깊은 이해도와 고마운 마음을 만들어갔으면 한다. 한글이 있어 우리가 한국학교를 다니고 한국학교와 이글을 배우는 많은 사람들이있어 한글은 우리와 영원히 함께할것이다.

The students of New England Korean School celebrated the day through these various ways, which hopefully gave them a better and deeper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for Hangul Day and the wonderful language of Hangul. Because there is Hangul, we are able to attend Korean School, and because of the many people who learn this language, Hangul will remain with us forever.









75 views7 comments

Recent Posts

See All

뉴잉글랜드 한국학교 보조교사들이 직접 선정한 2024년 올해의 키워드 | Keywords of the Year 2024, selected by the Korean School of New England's Assistant Teachers

작년에 이어 올해도 KSNEAN은 새해를 맞이하여 뉴잉글랜드 한국학교의 교사와 보조교사들이 생각 하는 올해의 키워드를 알아보기로 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2024년을 가장 잘 표현 할 수 있는 ‘내가 생각하는 올해의 키워드’와 다가오는...

설날 떡국 레시피 | Seollal Rice Cake Soup Recipe

재료 떡국 떡 300g 대파 1/2 개 계란 1 개 간장 1 큰술 소금, 후추, 참깨 (기호에 맞게) 물 5컵 (필요 시 더 추가) 멸치 10마리 다시마 1 조각 요리법 떡을 물에 약 20분 동안 담가 준비합니다. 멸치 4마리의 내장을 제거한 후...

2025년 한국 트렌드 키워드 | 2025 Korean Trend Keywords

언어는 사회의 변화를 반영하며 진화한다. 따라서 언어를 통해 시대의 트렌드와 세대의 생각이나 가치관에 대해 알 수 있다. 2025년을 맞이하면서 <트렌드 코리아>에 실린 2025년의 트렌드 키워드를 통해 올 한 해의 전망을 살펴보고 요즘 Gen...

7 Comments


Jean Kwon
Jean Kwon
Nov 20, 2021

읽기 쉽도록 뉴스 기사에 번역을 해준 것이 좋아요.

Like

cinnbeekohdogs
Nov 20, 2021

번역이 분리되어 있어서 좋아요.

Like

Erin Suh
Erin Suh
Nov 20, 2021

훈민정음에 대한 짧은 퀴즈를 한 것이 기억나네요. 저도 한국인으로서 한국의 문화적 측면들 중에서 가장 독특하고 중요한 것이 한글이라고 생각해요. 잘 읽었어요! ^^

Like

Kristin Kim
Kristin Kim
Nov 20, 2021

한글날을 기념하기 위해 한국학교 선생님들이 다양한 것들을 준비한 것을 알게 되었어요. 세종대왕님께서 한글을 안 만드셨다면 우리는 지금도 한자를 사용하고 있지 않을까요? 한글이 있어서 우리가 이렇게 쉽게 한국어를 글씨로 쓸 수 있어요

Like

Joongeun Choi
Joongeun Choi
Nov 20, 2021

글의 흐름이 아주 자연스러워요. 처음엔 한글의 탄생을 설명한 후 한국학교에서 각 반들이 배운 내용과 한 활동들을 잘 요약해서 썼어요. 마지막에 자기 생각도 표현하며 글을 잘 마무리 했어요. 다음 번에는 글을 쓸 때 문장 사이에 공간을 조금 두고 쓰면 읽기도 편하고 더 예쁜 글이 될 것 같아요.

Like

Official Student Newspaper of KSNE

 

 

뉴잉글랜드 한국학교 - Korean School of New England

http://ksneusa.org/

© 2021-22 KSNEAN 



K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