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 Suzie Kim (김수지) and staff writers


2021-2022 뉴잉글랜드 한국학교 온라인 수업: 선생님들에 경험
2021-2022 학기를 시작하며, 뉴잉글랜드 한국학교는 2년째 온라인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코로나로 인한 온라인 수업이 시작되면서, 특별히 학생들과 선생님들이 어려운 경험을 겪고 있다. 신라 1반 홍순주 선생님, 조선반 강승연 선생님, 한라반 김은아 선생님을 인터뷰했다.
1. 온라인 수업을 하면서 제일 큰 장애물이 뭐였나요? 그 장애물을 어떻게 해결했나요?
신라 1반 홍순주 선생님:
온라인 상으로는 대부분의 자료를 공유할 때 교육용 툴을 이용해야 해요. 각 가정의 인터넷 환경도 중요하고 온라인 공간에서는 아이들이 어릴수록 집중하는데 어려움이 있어요. 우선은 다큐멘터리 카메라를 사용하고 온라인 툴을 최대한 이용해서 아이들이 정보를 쉽고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했어요. 그리고 상호작용의 어려움은 줌의 기능을 다양하게 활용을질문을 많이 하고 이름을 자주 불러 주면서 아이들의 피드백으로 해결하려고 했어요. 그래서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이 수업 전반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업을 구성해 보았어요.그 전에 아이들에 대해 많이 알아야 했어요.
조선반 강승연 선생님:
저희 조선반에서 줌으로 할때 가장 힘들었던 점은 학생들이 수업할때 동시 참여하기가 어렵고 한명씩 자기 순서를 정해주어야 하며 그 시간 소요가 많아서 수업시간내 활용이 아쉬웠습니다. 또 수업 중 학생들이 집중하고 있는지 화면안에서 보기가 어렵다는 점입니다.
방안으로 학기 시작 전에 오리엔테이션을 갖고 온라인수업 에티켓을 알려주고
훈련하고 학생들을 잘 보기위해 컴퓨터 스크린을 하나 더 연결해서 학생들을 모니터하고 크게 볼 수 있어서 도움이 되었습니다.
한라반 김은아 선생님:
온라인 수업의 장애물은 학생들의 참여를 직접 볼 수 없다는 거에요. 학생이 카메라를 끄고 있는 경우는 아예 수업에 참여하는지 알 수가 없고, 화면을 켜둔 경우에도 얼굴이 보이지 않게 해둔 경우에는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지 알 수 없다는 점이 가장 어려웠습니다. 이걸 해결하기 위해서 되도록이면 화면을 켜고 수업에 참여하도록 하고 수업을 하면서 돌아가며 읽기를 시키거나 문제의 답을 발표하도록 하였고, 수업시간에 한 내요을 카메라로 찍어 구글 클래스룸에 바로바로 업로드 하도록 하였습니다.
2. 온라인 수업의 장점이 뭐라고 생각하나요?
신라 1반 홍순주 선생님:
집에서 줌을 켜면 바로 수업에 들어 올 수 있어서 접근성이 좋고 온라인 툴을 잘 사용하면 배우는 부분을 효과적으로 만들 수 있어요.
조선반 강승연 선생님:
온라인 수업의 장점은 뭐니뭐니해도 이동하는 시간의 절약과 장소에 자유로움 즉 인터넷만 되면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는 것 같습니다.
또 학교행사로 빠져야 할 경우 다 빠지는게 아니라 일부 빠지고 중간에 수업에 들어오기가 용이한 것 같습니다 .
한라반 김은아 선생님:
온라인 수업의 장점은 거리의 한계를 뛰어넘어 수업을 할 수 있다는 점이지요. 우리학교에도 미국의 다른 지역에서 또는 심지어 한국에서도 수업을 하시는 선생님이 여러분 계시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눈이 많이 온다거나 기상 상황이 안 좋아도 학교를 오픈할 수도 있구요.
3. 온라인 수업을 이번해에도 할 줄 알았습니까?
신라 1반 홍순주 선생님:
네 예상은 했어요. 아이들이 백신을 맞지 않은 상황에서 지금의 상황이 당장 해결될 일이 아니니까요.
조선반 강승연 선생님:
아니요 , 이번엔 대면 수업이 진행되지 않을까 했습니다 .
한라반 김은아 선생님:
이번 해에 온라인으로 수업하게 될지 대면으로 수업하게 될지 결정되기까지 교장선생님께서 고민 많이 하셨을걸로 예상 하는데요, 우리 학교에는 나이가 어려서 아직 백신을 맞지 못한 어린 학생들이 많아서 적어도 이번 학기까지는 온라인 수업을 하게 되었습니다.
4. 왜 한국학교 수업을 온라인으로도 지속해야 한다고 생각하나요? 온라인으로도 가르치는 동기가 무었인가요?
신라 1반 홍순주 선생님:
대면 수업을 할 수 없는 상황일지라도 배움의 지속성은 무엇보다도 중요하고 공백기가 클수록 아이들의 한국어 수준이 저하되기 때문에 그 부분이 우려되었고 어떠한 상황에서도 아이들에게 배울 수 있는 기회는 열려 있어야 한다고 봐요.
조선반 강승연 선생님:
저희 중급과정은 컴푸터 사용 수업이
불편하지 않은 연령이고 언어공부는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쓸 때 실력이 향샹되므로 온라인 수업으로도 충분히 도움이 많이 되고 있습니다.
쓰기나 문제풀이도 잘 진행되고 있습니다.
한라반 김은아 선생님:
온라인 수업이 장점도 있기는 하지만 아무래도 어디까지나 대면 수업이 어려운 상황에서 대체수단으로 사용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더 이상 온라인 수업은 싫다 효과가 별로 없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이나 학부모님들이 계실 수도 있는데, 온라인 수업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어를 꾸준히 접하고 연습하고 숙제하는 과정을 통해 계속 한국어 실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선생님들께서 일년이상 온라인 수업을 하시면서 더 좋은 수업 자료를 개발 하시고 수업 진행 방법을 발전시켜나가시고 계시기 때문에 온라인 수업도 충분히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5. 이번 학기 (21-22)를 위해 작년이랑 뭐를 준비하였나요? 새로운 program/app이나 tool을 사용했나요?
신라 1반 홍순주 선생님:
지난 해와 마찬가지로 줌과 구글 클래스 룸으로 아이들에게 수업과 숙제 제공을 하고 있어요.
지난 해에 아이들을 가르치면서 아쉬웠던 부분과 보완해야 할 것들을 체크해 뒀는데 올 해 그것을 바탕으로 자료들을 더 보강했어요. 기본적으로 프로그램이나 앱,툴 사용은 온라인 수업에서 꼭 필요하기 때문에 아이들 나이와 수준에 맞게 다양하게 사용해야 해요. 온라인이기 때문에 관계형성과 상호 작용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러기 위해 앞에 말했듯이 사전 준비로 아이들에 대해 많이 알려고 노력했어요.
조선반 강승연 선생님:
저희 조선반에서는 음성녹음 숙제를 통해 읽기와 회화 연습이 잘 진행되고 있고 줌 breakout 을 통해 소그룹 수업과 토론 수업이 가능했고 Google class, google Quiz 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한라반 김은아 선생님:
이번 학기에 특별히 다른 tool을 사용하지는 않고 있습니다. 구글 클래스룸을 이용해서 매주 수업자료 및 숙제를 제공하고 학생들이 수업내용을 그때그때 올리도록 하고 숙제를 제출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Zoom으로 수업을 하고 설명이 필요할 때는 document camera를 이용합니다.

English translation:
2021-2022 New England Korean School Online Class: The Experience of Teachers
Starting the 2021-2022 school year, New England Korean School has been conducting classes online for two years now. With the start of online classes due to COVID-19, students and teachers in particular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We interviewed teachers Hong Soon-joo of the Silla Class 1, Kang Seung-yeon of the Joseon Class, and Kim Eun-ah of the Halla Class.
1. What was the biggest obstacle to online classes? How did you solve that obstacle?
Hong Soon-joo, Silla Class 1:
You have to use educational tools when sharing most of the materials online. The Internet environment of each family is also important, and the younger the children are, the more difficult it is to concentrate in the online space. First of all, we used documentary cameras and online tools to make it easier and fun for children to understand information. I tried to solve the difficulty of interaction with the children's feedback by asking a lot of questions and calling out their names frequently using various zoom functions. Therefore, I organized the class lesson so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and the student can take place overall. Before that, I had to know a lot about the children.
Kang Seung-yeon, Joseon class:
The hardest thing about zoom in our Joseon class was that it was difficult for students to participate at the same time. I had to assign their order one by one which took up a lot of class time, and that was such a shame. Also, it is difficult to see if students are concentrating during class on the screen. It was helpful to have an orientation before the start of the semester to teach online class etiquette, experience, and practice. Connecting one more computer screen to monitor the students and view them larger was also helpful.
Kim Eun-ah, Halla class:
The obstacle to online classes is that you can't see students' participation in person. If the student had their camera turned off, it was impossible to know whether they were participating in the class at all, and even if the screen was turned on they sometimes didn’t show their face and that also made it impossible to know if they were participating. To solve this problem and have students turn on the camera and participate in class as much as possible, I made them take turns reading or presenting the answer to the problem and also upload a picture of their classwork to Google Classroom immediately.
2. What do you think are the advantages of online classes?
Hong Soon-joo, Silla class 1:
If you zoom in from home, you can enter the class immediately and also make effective use of the online tools as well.
Kang Seung-yeon, Joseon class:
The huge advantages of online classes are saving traveling time and freedom of place, that is, the class can be conducted anywhere if you have access to the internet.
Also, if you can’t attend class due to a school event, you don't miss the whole class and can join in the middle far more easily.
Kim Eun-ah, Halla Class:
The advantage of online classes is that we can go beyond the limits of distance. I know that there are teachers in our school who teach from other parts of the United States or even from Korea. Also, if it snows a lot or the weather is bad, the school may still open.
3. Did you expect to have online classes this year as well?
Hong Soon-joo, Silla Class 1:
Yes, I expected it. The current situation is not something that can be solved immediately when children are not vaccinated.
Kang Seung-yeon, Joseon class:
No, I thought there would be a face-to-face class this time.
Kim Eun-ah, Halla Class:
I'm sure the principal worried a lot about whether to teach online or face-to-face this year, but there are many young students in our school who are young and have not yet been vaccinated, so we're holding classes online at least until this semester.
4. Why do you think Korean school classes should continue online? What motivated you to teach online?
Hong Soon-joo, Silla Class 1:
Even if face-to-face classes are not available, the continuity of learning is paramount, and the larger the gap, the lower the children's Korean level, so I was worried about that; I think children should have the opportunity to learn regardless of any circumstances.
Kang Seung-yeon, Joseon class:
In our mid-level course, it’s not uncomfortable to carry on online classes, and language study improves when it is continuously used and implemented, so online classes are also very helpful.
Writing and doing practice sets are also going well.
Kim Eun-ah, Halla Class:
Although online classes have advantages, they can be said to be just used as an alternative in situations where face-to-face classes are difficult. Therefore, there may be students or parents who hate online classes and think they have little effect, but even though they are online classes, they can continue to improve their Korean skills through the process of constantly accessing, practicing, and doing homework. I think online classes are worthwhile because teachers are developing better class materials and ways to proceed with classes, so online classes are definitely worth it.
5. What did you prepare last year for this semester (21-22)? Did you use a new program/app or tool?
Hong Soon-joo, Silla Class 1:
Like last year, we are providing classes and homework to children through Zoom and Google Classroom.
While teaching children last year, I checked what was lacking and what I needed to supplement, and based on that this year, I reinforced the resources. Basically, the use of programs, apps, and tools is essential in online classes, so you have to use them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your children's age and level. Since it is online, I learned that relationship formation and interaction are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and to do so, as I said before, I tried to learn a lot about the children by preparing in advance.
Kang Seung-yeon, Joseon class:
In our Joseon class, reading and conversation practice are going well through voice recording homework. Small group classes and discussion classes were possible through Zoom breakout sessions, and we are using Google Class and Google Quiz.
Kim Eun-ah, Halla Class:
We are not using any other tools this semester. Using Google Classroom, we provide class materials and homework every week, have students upload their class materials regularly, and submit their homework. I teach with Zoom and use document camera when I need to provide an explanation.
안녕하세요,
온라인 수업을 하고 계신 선생님들의 경험과 느낌들을 글에 잘 담았어요. 읽으면서 선생님들의 노력과 학생들에게 한글을 가르치자 하는 마음이 느껴지네요. 다음번엔 띄어쓰기와 맞춤법을 검사하고 편집한 후에 발행하면 더욱 멋진 글이 될 것 같아요.
이 기사를 통해서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면서 한국학교 선생님들의 생각과 노력에 대해 더 알게 되어서 좋았어요!
여러가지 선생님들을 인터뷰 해서 좋았던 것 같아요.
학생으로서 온라인 수업에 대한 관점들을 보니까 신기하네요. 생각지도 못한 문제들이 이렇게 큰 고민이 될거라고는 상상도 못했던 것 같아요. 재미있게 잘 읽었어요! ^^
저는 기사가 여러 사람이 같은 질문에 대답하는 것이 좋았습니다.